본문 바로가기
예배 자료/찬송가

10장 전능왕 오셔서

by ANTLEMA 2025. 3. 24.

찬송가 10장 “전능왕 오셔서”  해설

1769년에 태어난 삼위일체 찬송의 걸작


🎵 찬송가 정보 한눈에 보기

  • 한글 제목: 전능왕 오셔서
  • 원제: Come, Thou Almighty King
  • 작사: 미상
  • 작곡: Felice de Giardini (펠리체 데 지아르디니, 1716–1796)
  • 작곡 연도: 1769년
  • 사용 용도: 입례송, 삼위일체 주일, 성찬식 등 예배 전반에서 활용

찬송가 10장 *“전능왕 오셔서”*는 예배의 문을 여는 곡으로 널리 사랑받아온 고전 찬송입니다. 이 곡은 삼위일체 하나님—성부, 성자, 성령—각 위격을 차례로 찬양한 후, 마지막 절에서 함께 찬양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고백적이고 간결한 가사는 깊은 신학을 담고 있으며, 장중한 멜로디는 예배의 시작을 하나님 중심으로 돌이키게 합니다.


✨ 절별 해설 – 삼위일체 하나님을 노래하다


🎶 1절 – 성부 하나님의 통치와 권능을 구함

전능왕 오셔서 주 이름 찬송케 하옵소서
영광과 권능의 성부여 오셔서
우리를 다스려 주옵소서

  • “전능왕”은 구약 성경에서 자주 등장하는 하나님의 칭호(엘 샷다이)를 반영합니다.
  • “주 이름 찬송케 하옵소서”는 예배자들이 하나님의 인격과 성품을 예배 가운데 높이기 원함을 고백하는 기도입니다.
  • “다스려 주옵소서”라는 간구는 예배의 주도권이 하나님께 있음을 인정하는 고백으로, 모든 예배자들의 삶이 그분의 통치 아래 있기를 소망합니다.

🧠 신학 포인트: 성부 하나님의 주권, 창조주 되심, 하나님 중심 예배의 초대


🎶 2절 – 성자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와 성화 요청

강생한 성자여 오셔서 기도를 들으소서
택하신 백성들 복 내려 주시고
거룩한 마음을 주옵소서

  • “강생”은 성육신의 교리로서,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신(요 1:14) 예수 그리스도를 찬양합니다.
  • “기도를 들으소서”는 중보자 되신 예수님(히 7:25)께 드리는 요청이며, 우리의 기도를 하나님께 올려드리시는 그리스도의 사역을 고백합니다.
  • “거룩한 마음”은 내적 성결을 의미하며, 성화의 은혜를 구하는 기도입니다.

🧠 신학 포인트: 성자의 성육신, 중보사역, 성화의 은혜와 택함받은 백성


🎶 3절 – 성령 하나님의 내주와 역사

위로의 주 성령 오셔서 큰 증거 주옵소서
전능한 주시여 각 사람 맘에서
떠나지 마시고 계십소서

  • “위로의 주 성령”은 요한복음 14장에 나오는 보혜사(Helper, Comforter) 성령님을 가리킵니다.
  • “큰 증거”는 복음에 대한 확신, 그리고 성령을 통해 구원의 증거가 각 사람 안에 나타나기를 구하는 기도입니다.
  • “떠나지 마시고 계십소서”는 성령의 지속적 임재와 인도하심을 바라는 절절한 간구입니다.

🧠 신학 포인트: 성령의 위로자 되심, 내주하심, 복음의 확신과 교통


🎶 4절 – 삼위일체 하나님께 드리는 영광과 예배

성 삼위일체께 한없는 찬송을 드립니다
존귀한 주님을 영광 중 뵈옵고
영원히 모시게 하옵소서 아멘

  • “성 삼위일체께”는 앞의 세 절을 하나로 모아 삼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선언입니다.
  • “영광 중 뵈옵고”는 계시록적 예배의 장면을 암시하며, 하나님 앞에서의 종말론적 만남을 묘사합니다.
  • “영원히 모시게 하옵소서”는 하나님과의 영원한 교제를 갈망하는 고백으로, 이 찬송의 대미를 장식합니다.

🧠 신학 포인트: 삼위일체 교리의 찬양, 천상 예배, 종말론적 소망


🕊️ 역사와 배경

  • 작곡자: 펠리체 데 지아르디니(F. de Giardini)는 이탈리아 출신의 작곡가로, 런던에서 활동하며 이 찬송의 선율을 1769년에 작곡했습니다.
  • 배경: 18세기 감리교 및 복음주의 부흥 운동이 활발하던 시기, 교리 중심 찬송이 널리 퍼지던 분위기 속에서 이 곡도 교회 전통에 깊이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 관련 성경 구절

  1. 빌립보서 2:9–11 – 예수의 이름에 무릎 꿇게 하심
  2. 요한복음 14:26 – 보혜사 성령께서 가르치시리라
  3. 요한복음 17:17 – 진리로 거룩하게 하소서
  4. 계시록 4:11 – 주께 영광과 권능이 합당하도다
  5. 마태복음 28:19 – 삼위일체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라

 

🙏 묵상 포인트

  • 나는 오늘 누구의 다스림 아래 살아가고 있는가?
  • 예수님의 중보하심 안에서 내 기도를 드리고 있는가?
  • 성령님의 위로와 임재를 의식하며 살고 있는가?
  • 삼위 하나님께 드리는 나의 찬송은 진심에서 우러나오는가?

🔚 맺는말: 삼위 하나님께 드리는 완전한 예배

“전능왕 오셔서”는 단순한 찬송을 넘어, 신학적으로 구조화된 찬송이며, 삼위일체 교리를 고백하는 노래입니다.
이 찬송을 통해 우리는 성부의 통치, 성자의 구속, 성령의 위로와 능력을 다시 붙잡고, 예배의 중심에 하나님을 모시게 됩니다.


📝 함께 묵상해볼 질문

  • 삼위일체 찬송을 부르며 내 삶에서 어떤 하나님을 경험하고 있는가?
  • 이 찬송이 내 예배와 신앙에 어떤 새로운 시선을 열어줄 수 있을까?
  • 오늘, 나는 하나님을 어떻게 모시고 있는가?

이 찬송가 해설이 여러분의 예배와 묵상에 깊이를 더해주기를 바랍니다.

https://youtu.be/lb6ZWhitJOE?si=F6S0-jDXS-5b7m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