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씀묵상

예수님을 바라보자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누고자 하는 말씀의 주제는 '예수를 바라보자'입니다. 히브리서 12장 2절의 "예수를 바라보자"는 NIV 성경에서는  "Let Us Fix Our Eyes on Jesus"라고 번역하고 있습니다. 예수님께 우리의 눈을 fix, 고정하자는 것입니다. 우리의 삶에서 예수님께 우리의 시선을 고정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깊이 생각하고자 합니다.예수를 바라보아야 하는 이유오늘날 우리는 많은 정보와 소음 속에서 살아갑니다. 물질적 성공, 사회적 압박, 개인적인 문제들이 우리를 흔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수님께 시선을 고정함으로써 흔들리지 않는 믿음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예수님은 우리의 죄를 지고 가신 유일한 구속자로, 그분을 바라보는 것은 우리의 구원과 직.. 더보기
아모스 5장 4-6절 묵상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족속에게 이르시기를 너희는 나를 찾으라 그리하면 살리라 벧엘을 찾지 말며 길갈로 들어가지 말며 브엘세바로도 나아가지 말라 길갈은 정녕 사로잡히겠고 벧엘은 허무하게 될 것임이라 하셨나니 너희는 여호와를 찾으라 그리하면 살리라 염려컨대 저가 불 같이 요셉의 집에 내리사 멸하시리니 벧엘에서 그 불들을 끌 자가 없을까 하노라"(아모스 5장 4-6절) 이스라엘은 기원전 13세기에 애굽에서 탈출하여 가나안에 정착하여 기원전 1,020년에 사울을 초대 왕으로 최초의 군주제 국가를 설립했다. 사울의 뒤를 이어 다윗이 왕위에 오르고 예루살렘을 수도로 정하고 그 후 왕이 된 솔로몬은 예루살렘에 성전을 건설하였으며 사울과 다윗 그리고 솔로몬으로 이어지는 왕국시대를 끝으로 솔로몬 사후 나라는 둘로 갈라져.. 더보기
짐을 짊어져야 하는 이유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 그리하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이는 내 멍에는 쉽고 내 짐은 가벼움이라 하시니라"(마 11:28-30) 우리 인생이 살만한 가치가 있고 우리가 존재하는 이유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라도 짐을 짊어져야 한다. - 조던 B. 피터슨- 더보기
하나님의 사람과 늙은 선지자(왕상 13:11~24) 성경을 읽다 보면 이해가 안되는 부분들이 참 많습니다. 물론 나 자신이 지혜가 없어서 그 말씀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지 성경 자체에 오류가 있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럴 때마다 기도하고 묵상하면서 하나님의 지혜를 구하게 됩니다. 그러면 어느 순간에 이해가 되지 않고 믿어지지 않던 하나님의 말씀이 이해가 되고 믿어지고 내 삶의 원동력이 되는 능력의 말씀으로 다가오게 됩니다. 오늘 묵상한 본문 열왕기상 13장 11~24절의 말씀도 이해가 쉽지 않은 본문입니다. 첫째는 벧엘에 사는 한 늙은 선지자의 거짓된 행위도 그렇고, 둘째는 그런 거짓 선지자에게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이 임했는지도 그렇고, 셋째는 거짓 선지자에게 속은 하나님의 사람의 최후에 관한 일도 그렇습니다. 먼저 벧엘에 사는 한 늙은 선지자의 경우입니.. 더보기
하나님의 사람과 하나님의 말씀(왕상 13:1~10) 예수님을 믿고 따르는 사람을 우리는 흔히 ‘그리스도인’이라고 부릅니다. 이 말은 기독교 선교 초기에 제자들이 안디옥에서 ‘그리스도인’이라고 불려졌던 것이 오늘날까지 계속해서 사용되고 있는 것입니다(행 11:26). 아마 당시의 안디옥 사람들은 예수님의 제자들에게서 예수님을 본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예수님의 제자들을 ‘그리스도의 사람’이라고 불렀을 것입니다. 오늘 본문에 보면 “하나님의 사람”이란 단어가 8번이나 나옵니다. 이 사람의 이름이 무엇이지 기록되어 있지 않고 다만 ‘하나님의 사람’이라고만 나옵니다. 왜 성경은 이 사람의 이름을 기록하지 않고 단순히 ‘하나님의 사람’이라고만 기록했을까요? 우리 속담에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 더보기
2015년 2월 14일 요한복음 11장 1~16절 믿음을 갖는다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다.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자기의 이성으로 이해되고 깨달아지는 것은 알게 되고, 자기의 이성으로 이해가 되지 않고 깨달아지지도 않는 것은 모르는 것으로 남는다. 우리가 무엇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악해야 한다. 화이트헤드는 주체로서의 현실적 존재가 하나 하나의 객체적 요소를 사유화하는 각각의 활동을 파악(prehension)이라고 불렀다. 파악은 주체가 객체를 사유화하고 수용하는 과정이다. 객체를 수용하지 못하거나 자신의 것으로 사유화하지 못할 때 이해하지 못하고 거부하게 된다. 예수님 당시에 많은 유대인들은 예수님을 이해하지 못했다. 예수님의 말씀을 이해하지 못했고 예수님의 행동들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들은 예수님이 누구인지, 그가 왜 그런 말씀과 행동.. 더보기
2015년 1월 26일 요한복음 6장 52~59, 내가 유일하게 시간을 정해 놓고 보는 TV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주일예배를 모두 마치고 일주일에 한 번 온 가족이 함께 하는 저녁식사를 마치고 아주 편안하게 보는 프로그램입니다. 방송 3사 가운데 유일한 게그 프로인 KBS 개그콘서트가 바로 그것입니다. 요즘 아이들이 하는 말이나 노래, 표현법을 잘 몰라 많은 부분은 웃지도 못하고 그저 바라만 보는 경우도 많지만 그래도 웃을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는 요즘에 억지 웃음이라도 지어보고 싶은 마음에 열심히 보는 프로그램입니다. 게그콘서트 가운데 지난 2014년 6월부터 시작한 ‘닭치高’라는 코너가 있습니다. 기억력이 없는 사람들을 비하해서 흔히 ’닭대가리’라고 하는데, 그 코너에 나오는 양념반, 후라이드반 학생들인 모든 닭들이 모두 기억력이 없어서 생기는 건망.. 더보기
2015년 1월 25일 요한복음 6장 41~51절 우리가 신앙생활을 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단어 중의 하나는 ‘구원’과 ‘영생’일 것입니다. “예수 믿으면 구원받는다. 예수 믿으면 영생한다.”는 이야기를 끊임없이 듣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구원과 영생은 같은 개념입니다. 구원은 죄인인 우리가 그 죄에서 해방받는 것을 말하고, 죄에서 해방받은 사람이 누리는 복이 바로 영생입니다. 그런데 신앙생활을 하면서 영생이라는 말처럼 오해하고 있는 말도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우리는 흔히 ‘영생’이라고 하면 ‘영원한 생명’(eternal life)의 준말로, 영원히 죽지 않고 사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 말이 아주 틀린 말은 아닙니다. 그러나 그러한 시간적인 개념으로 생각한다면 지옥에서도 사람들은 영생합니다. 모든 사람들은 천국에서든지, 지옥에서든지 죽지 않고.. 더보기
2015년 1월 24일 요한복음 6장 30~40절 우리가 먹는 음식 중에는 빵과 떡 그리고 밥이 있습니다. 그 중에 제가 제일 좋아하는 것은 떡입니다. 그래서 떡이 있으면 빵이나 밥을 먹지 않습니다. 그런데 떡이 없고 빵과 밥이 있으면 밥을 먹지 않고 빵을 먹습니다. 떡과 없고 빵도 없고 밥만 있을 때만 밥을 먹습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떡도 빵도 그리고 밥도 잘 먹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탄수화물을 너무 많이 섭취했던 것 같아 건강을 위해서 좀 줄이고 있습니다. 오늘 본문에는 예수님께서 자신을 “생명의 떡”(요 6:35)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물론 어원적으로 보면 “생명의 빵”이 맞지만 우리나라 정서상 “생명의 빵”보다는 “생명의 떡”이 어울릴 것 같아서 그렇게 번역했을 것입니다. 공동번역과 새번역 그리고 현대인의 성경은 모두 “생명의 빵”으로 번역하고 .. 더보기
2015년 1월 23일 요한복음 6장 22~29절 이만재씨 쓴 책 가운데 '교회가기 싫은 77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물론 사람이 어떤 것을 하기 싫어하면 무슨 이유인들 대지 못하겠느냐마는 77가지 이유들을 하나씩 잘 생각해 보면 우리가 너무 쉽게 생각한 나머지 간과했던 문제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 같아 읽어본 적이 있습니다. 그 책에 보면 교회에 한 번이라도 다닌 적이 없는 사람들이 교회에 가기 싫은 이유와 교회에 한 번이라도 다녀본 적이 있는 사람들이 교회에 가기 싫은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그 중에 교회에 한 번이라도 다녀본 적이 있는 사람들이 교회에 가기 싫은 이유가 38가지가 있는데, "헌 따라 사람 대접이 달라서 싫다"거나 "능력 이상의 직분을 강요한다"는 것이 교회에 가기 싫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사실 한국 교회는 그 동안 물량주의에 기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