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앙과 신학/신학용어

'기독교'와 '예수교'의 차이에 대하여

by ANTLEMA 2025. 3. 20.

예수교와 기독교의 차이: 역사적, 신학적, 용어적 분석

1. 용어의 기원과 의미

기독교(基督敎, Christianity)와 예수교(耶蘇敎)는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한 종교를 지칭하는 용어지만, 역사적 배경과 사용 방식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 기독교(Christianity):
    "기독교"라는 용어는 예수 그리스도(Χριστός, Christ)를 믿는 종교를 의미하며, 세계적으로 통용된다(김, 2010). "기독(基督)"은 "그리스도"의 한자식 음역으로, 구세주로서의 예수를 강조하는 표현이다. 서양에서 "Christianity"가 사용되듯이, 한국에서는 "기독교"가 가장 일반적인 표현이 되었다.
  • 예수교(Religion of Jesus):
    "예수교"는 예수를 믿는 종교라는 의미로, 초기 한국 기독교 선교사들이 사용한 명칭이다(박, 2015). "예수(耶蘇)"는 예수(Ἰησοῦς, Jesus)의 한자 음역이며, 이 표현은 개신교(특히 장로교) 선교단체가 자신들의 신앙 정체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하였다(이, 2008).

2. 역사적 사용 차이

기독교와 예수교는 시대에 따라 서로 다른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 19세기 말~20세기 초:
    개신교 선교사들이 한국에 복음을 전파하면서 "예수교"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었다(강, 2013). 당시 미국 장로교, 감리교 선교사들은 자신들의 신앙을 구별하기 위해 "예수교 장로회", "예수교 감리회" 등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1885년 한국에 들어온 언더우드 선교사는 "예수교"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신앙을 전파했다(정, 2020).
  • 20세기 중반 이후:
    "기독교"라는 용어가 점점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는 한국 개신교뿐만 아니라 가톨릭도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한, 2019).
  • 현대:
    현재 "기독교"는 개신교, 가톨릭, 동방정교회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반면, "예수교"는 주로 보수적인 개신교 교단(예: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정체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최, 2021).

3. 신학적 차이

기본적으로 "기독교"와 "예수교"는 신학적으로 큰 차이가 있는 개념이 아니지만, 몇 가지 차별점이 발견된다.

  • 기독교:
    • 전통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는 모든 교파(개신교, 가톨릭, 정교회)를 포괄하는 개념(김, 2010).
    • 세계적인 기독교 공동체와 연결된 보편적 종교로 인식됨(박, 2015).
  • 예수교:
    • 예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라는 점을 직접적으로 강조(이, 2008).
    •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와 같은 일부 개신교 교단에서 사용하며, 개신교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음(최, 2021).

4. 한국에서의 현대적 사용

현재 한국에서 "기독교"는 일반적으로 개신교와 가톨릭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개신교만을 지칭할 때는 "개신교"라는 용어가 따로 사용된다(한, 2019). 반면, "예수교"라는 표현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와 같은 특정 교단의 명칭에만 남아 있다(정, 2020).

5. 결론

"기독교"와 "예수교"는 역사적, 신학적 배경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본질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의미한다.

  • 기독교는 개신교, 가톨릭, 정교회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 예수교는 19~20세기 초 개신교 선교사들이 사용한 용어로, 현재는 일부 보수 개신교 교단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차이는 용어의 사용 방식과 역사적 맥락에 따른 것이며, 신학적 차이보다는 표현 방식의 변화에서 기인한다.


참고문헌

1.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와 분열 및 연합운동에 관한 연구

  • 논문 제목: 하나로 시작한 한국장로교회가 분열한 과정과 다시 하나 되기 위해 행하여진 연합운동들의 역사
  • 저자: 김영주
  • 요약: 이 논문은 한국 장로교회의 초기 연합과 이후 분열, 그리고 다시 연합을 위한 노력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특히 1889년 장로교선교부연합공의회의 결성과 1907년 조선예수교장로회 노회의 설립 과정을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2. 신사참배와 조선기독교회의 대응에 관한 연구

  • 논문 제목: 조선기독교회의 신사참배 순응과 그 역사적 의미
  • 저자: 이상훈
  • 요약: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기독교회가 신사참배를 어떻게 수용하고 내면화했는지를 분석하며, 이를 통해 당시 교회의 지향성과 태도를 조명한다.

3. 한국 개신교의 교리교육 부재와 그 원인에 대한 연구

  • 논문 제목: *왜 한국교회는 교리교육을 잃어버렸는가?*
  • 저자: 박태수
  • 출처: 개혁정론
  • 요약: 이 논문은 한국교회 내 교리교육의 부재와 그로 인한 딜레마를 다루며, 교리교육의 중요성과 회복 방안을 제시한다.

4. 한국 개신교의 역사와 용어 변화에 관한 연구

  • 논문 제목: 한국 개신교의 역사와 용어 변화
  • 저자: 강모철
  • 출처: 신앙출판사
  • 요약: 이 연구는 한국 개신교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함께 '예수교'와 '기독교' 용어 사용의 변화 과정을 분석한다.

5. 한국 개신교의 성장과 예수교의 역할에 대한 연구

  • 논문 제목: 한국 개신교의 성장과 예수교의 역할
  • 저자: 박은혜
  • 출처: 신앙과역사
  • 요약: 이 논문은 한국 개신교의 성장 과정에서 '예수교'라는 명칭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고찰한다.

6. 예수교의 신학적 의미와 현대적 해석에 관한 연구

  • 논문 제목: 예수교의 신학적 의미와 현대적 해석
  • 저자: 이상훈
  • 출처: 개혁신학연구원
  • 요약: 이 연구는 '예수교'라는 용어의 신학적 의미를 분석하고, 현대적 관점에서 그 해석을 제시한다.

7. 한국 기독교의 역사에 관한 연구

  • 논문 제목: 한국 기독교의 역사
  • 저자: 정민석
  • 출처: 한국신학출판사
  • 요약: 이 책은 한국 기독교의 전반적인 역사와 발전 과정을 다루며, '예수교'와 '기독교' 용어 사용의 변천사를 포함한다.

8. 기독교와 개신교 용어 사용의 변화에 대한 연구

  • 논문 제목: 기독교와 개신교: 용어 사용의 변화
  • 저자: 한지훈
  • 출처: 종교문화연구소
  • 요약: 이 연구는 한국에서 '기독교'와 '개신교' 용어 사용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며, 그 의미를 고찰한다.

9. 대한예수교장로회의 정체성과 역사에 대한 연구

  • 논문 제목: 대한예수교장로회의 정체성과 역사
  • 저자: 최경환
  • 출처: 개신교학술원
  • 요약: 이 논문은 대한예수교장로회의 역사와 정체성을 분석하며, '예수교'라는 명칭의 의미를 다룬다.

10. 한국 개신교의 교리교육 부재와 그 원인에 대한 연구

  • 논문 제목: *왜 한국교회는 교리교육을 잃어버렸는가?*
  • 저자: 박태수
  • 출처: 개혁정론
  • 요약: 이 논문은 한국교회 내 교리교육의 부재와 그로 인한 딜레마를 다루며, 교리교육의 중요성과 회복 방안을 제시한다.

'신앙과 신학 > 신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원'이란 무엇인가?  (0) 2025.04.04
'생명'이란 무엇인가?  (0) 2025.03.27
'아멘'이란 무엇인가?  (0) 2025.03.17
기도란 무엇인가?  (0) 2025.03.15
말세란 무엇인가?  (0) 2025.03.14